이 페이지는 이그리프 솔루션 데모페이지입니다.

02-867-0508 솔루션 문의하기

Exam Study 전체 문제를 확인하고 공부하세요.

  • 101.
    현장 응급처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동상부위는 건조하고 멸균거즈로 손상부위를 덮어주고 느슨하게 붕대를 감는다.
    을 .
    콘텍트렌즈를 착용한 모든 안구손상 환자는 현장에서 즉시 렌즈를 제거한다.
    병 .
    현장에서 화상으로 인한 수포는 터트리지 않는다.
    정 .
   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 물 등을 먹이는 것은 기도로 넘어갈 수 있으므로 피한다.
    정답 : 을
  • 102.
    자동 심장충격기에서 ‘분석중’ 이라는 음성지시가 나올 때 대처하는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?
    갑 .
    귀로 숨소리를 들어본다.
    을 .
    가슴압박을 중단한다.
    병 .
    가슴압박을 실시한다.
    정 .
    인공호흡을 실시한다.
    정답 : 을
  • 103.
    전기손상에 대한 설명 및 응급처치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전기가 신체에 접촉 시 일반적으로 들어가는 입구의 상처가 출구보다 깊고 심하다
    을 .
    높은 전압의 전류는 몸을 통과하면서 심장의 정상전기리듬을 파괴하여 부정맥을 유발함으로써 심정지를 일으킨다.
    병 .
    강한전류는 심한 근육수축을 유발하여 골절을 유발하기도 한다.
    정 .
    사고발생 시 안전을 확인 후 환자에게 접근하여야 한다.
    정답 : 갑
  • 104.
    다음 중 자동심장충격기 패드 부착 위치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?
    갑 .
    ㉠-㉡
    을 .
    ㉡-㉢
    병 .
    ㉡-㉣
    정 .
    ㉠-㉣
    정답 : 정
  • 105.
    심정지 환자 응급처치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인공호흡 하는 방법을 모르거나 인공호흡을 꺼리는 일반인 구조자는 가슴압박소생술을 하도록 권장한다.
    을 .
    인공호흡을 할 수 있는 구조자는 인공호흡이 포함된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는데 방법은 가슴압박 30회 한 후 인공호흡 2회 연속하는 과정이다.
    병 .
    인공호흡을 할 시 약 2∼3초에 걸쳐 가능한 빠르게 많이 불어 넣는다.
    정 .
    인공호흡을 불어 넣을 때에는 눈으로 환자의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지를 확인한다.
    정답 : 병
  • 106.
    일반인 구조자에 의한 기본소생술 순서로 옳은 것은?
    갑 .
    반응확인-도움요청-호흡확인-심폐소생술
    을 .
    맥박확인-호흡확인-도움요청-심폐소생술
    병 .
    호흡확인-맥박확인-도움요청-심폐소생술
    정 .
    반응확인-도움요청-맥박확인-심폐소생술
    정답 : 갑
  • 107.
    동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동상의 가장 흔한 증상은 손상부위 감각저하이다.
    을 .
    동상부위를 녹이기 위해 문지르거나 마사지 행동은 하지 않으며 열을 직접 가하는게 도움이 된다.
    병 .
    현장에서 수포(물집)는 터트리지 않는다.
    정 .
    동상으로 인해 다리가 붓고 물집이 있을 시 가능하면 누워서 이송하도록 한다.
    정답 : 을
  • 108.
    저체온증 응급처치에 대한 설명이다.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신체 말단부위부터 가온을 시킨다.
    을 .
    작은 충격에도 심실세동과 같은 부정맥이 쉽게 발생하므로 최소한의 자극으로 환자를 다룬다.
    병 .
    체온보호를 위하여 젖은 옷은 벗기고 마른 담요로 감싸준다.
    정 .
    노약자, 영아에게 저체온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.
    정답 : 갑
  • 109.
    열로 인한 질환에 대한 설명 및 응급처치에 대한 설명이다.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열경련은 열손상 중 가장 경미한 유형이다.
    을 .
    일사병은 열손상 중 가장 흔히 발생하며 어지러움, 두통, 경련, 일시적으로 쓰러지는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.
    병 .
    열사병은 열손상 중 가장 위험한 상태로 땀을 많이 흘려 피부가 축축하다.
    정 .
    일사병 환자 응급처치로 시원한 장소로 옮긴 후 의식이 있으면 이온음료 또는 물을 공급한다.
    정답 : 병
  • 110.
    쓰러진 환자의 호흡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?
    갑 .
    동공의 움직임을 보고 판단한다.
    을 .
    환자를 흔들어본다.
    병 .
    얼굴과 가슴을 10초 정도 관찰하여 호흡이 있는지 확인한다.
    정 .
    맥박을 확인하여 맥박유무를 확인한다.
    정답 : 병
  • 111.
    외상환자 응급처치로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탄력붕대 적용 시 과하게 압박하지 않도록 한다.
    을 .
    생명을 위협하는 심한 출혈로(지혈이 안 되는) 지혈대 적용 시 최대한 가는줄이나 철사를 사용한다.
    병 .
    복부 장기 노출 시 환자의 노출된 장기는 다시 복강내로 밀어 넣어서는 안 된다.
    정 .
    폐쇄성 연부조직 손상 시 상처부위를 심장보다 높이 올려준다.
    정답 : 을
  • 112.
    근골격계 손상 응급처치로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붕대를 감을 때에는 중심부위에서 신체의 말단부위 쪽으로 감는다.
    을 .
    부목고정 시 손상된 골격은 위쪽과 아래쪽의 관절을 모두 고정한다.
    병 .
    부목 고정 시 손상된 관절은 위쪽과 아래쪽에 위치한 골격을 함께 고정한다.
    정 .
    고관절탈구 시 현장에서 정복술을 시행하지 않는다.
    정답 : 갑
  • 113.
    상처 처치 드레싱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드레싱은 상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.
    을 .
    드레싱의 기능, 목적으로 출혈을 방지하기도 한다.
    병 .
    거즈로 드레싱 후에도 출혈이 계속되면 기존 드레싱한 거즈를 제거하지 않고 그 위에 다시 거즈를 덮어주면서 압박한다.
    정 .
    개방성 상처 세척용액으로 알코올이 가장 효과적이다.
    정답 : 정
  • 114.
    안구손상 응급처치로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날카로운 이물질이 안구 관통 시 현장에서 제거하지 않는다.
    을 .
    눈의 화학 화상 시 멸균생리식염수로 세척한다. 세척 시 반대편 손상 받지 않은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손상받은 쪽으로 얼굴을 기울여서 세척한다.
    병 .
    한쪽 눈에 이물질 관통 시 손상 받지 않은 눈은 시야 확보를 위해 덮지 않는다.
    정 .
    안구가 외부로 돌출된 손상 시 안구를 본래의 위치로 하기 위한 조작을 시행해서는 안 된다.
    정답 : 병
  • 115.
    심폐소생술 중 가슴압박에 대한 설명이다.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가슴압박은 심장과 뇌로 충분한 혈류를 전달하기 위한 필수적 요소이다.
    을 .
    소아, 영아의 가슴압박 깊이는 적어도 가슴 두께의 1/3 깊이이다.
    병 .
    소아, 영아 가슴압박 위치는 젖꼭지 연결선 바로 아래의 가슴뼈이다.
    정 .
    성인 가슴압박 위치는 가슴뼈 아래쪽 1/2이다.
    정답 : 병
  • 116.
    기도폐쇄 치료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임신, 비만 등으로 인해 복부를 감싸 안을 수 없는 경우에는 가슴밀어내기를 사용할 수 있다.
    을 .
    기도가 부분적으로 막힌 경우에는 기침을 하면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환자가 기침을 하도록 둔다.
    병 .
    1세 미만 영아는 복부 밀어내기를 한다.
    정 .
    기도폐쇄 환자가 의식을 잃으면 구조자는 환자를 바닥에 눕히고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한다.
    정답 : 병
  • 117.
    절단 환자 응급처치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?
    갑 .
    절단물은 바로 얼음이 담긴 통에 넣어서 병원으로 간다.
    을 .
    절단물은 바로 시원한물이 담긴 통에 넣어서 병원으로 간다.
    병 .
    절단된 부위는 깨끗한 거즈나 천으로 감싸고 비닐주머니에 밀폐하여 얼음이 닿지 않도록 얼음이 채워진 비닐에 보관한다.
    정 .
    절단부위 지혈을 위하여 지혈제를 뿌린다.
    정답 : 병
  • 118.
    자동심장충격기 사용 시 전기충격(제세동)으로 치료될 수 있는 리듬
    갑 .
    무수축
    을 .
    빈맥
    병 .
    심실세동
    정 .
    서맥
    정답 : 병
  • 119.
   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자동심장충격기는 2분마다 환자의 심전도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전기충격 필요성을 판단한다.
    을 .
    한 패드는 왼쪽 빗장뼈 아래에 다른 패드는 오른쪽 젖꼭지 아래 중간겨드랑선에 부착한다.
    병 .
    구조자는 환자에게 자동심장충격기를 적용한 상태로 구급대가 현장에 도착하거나 환자가 회복되어 깨어날 때 까지 심폐소생술을 계속한다.
    정 .
    심전도를 자동으로 분석하는 동안과 전기충격 버튼을 누를 시에는 가슴압박을 중단하여야 한다.
    정답 : 을
  • 120.
    심정지 환자 응급처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쓰러진 사람에게 접근하기 전 현장의 안전을 확인하고 접근한다.
    을 .
    쓰러진 사람의 호흡확인 시 얼굴과 가슴을 10초 정도 관찰하여 호흡이 있는지 확인한다.
    병 .
    가슴압박 시 다른 구조자가 있는 경우 2분마다 교대한다.
    정 .
    자동심장충격기는 도착해도 5주기 가슴압박 완료 후 사용하여야 한다.
    정답 : 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