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 페이지는 이그리프 솔루션 데모페이지입니다.

02-867-0508 솔루션 문의하기

Exam Study 전체 문제를 확인하고 공부하세요.

  • 41.
    해묘(Sea Anchor)에 대한 설명 중 바르지 못한 것을 고르시오.
    갑 .
    소형 선박에 해묘를 설치 시 선미에 설치하여 파도를 뒤로 받으며 표류한다.
    을 .
    기상 악화 상태에서 소형 선박의 기관 고장 시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다.
    병 .
    거친 해상의 구명정과 구명뗏목에서는 표류 중 표류속도를 줄이기 위한 기능을 한다.
    정 .
    해묘는 수중에서 끌림으로서 파랑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선체 방향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.
    정답 : 갑
  • 42.
    폭풍우시 대처방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파도의 충격과 동요를 최대로 줄이기 위해 속력을 줄이고 풍파를 선수 20°~30° 방향에서 받도록 조종한다.
    을 .
    파도의 충격과 동요를 최대로 줄이기 위해 속력을 줄이고 풍파를 우현 90° 방향에서 받도록 조종한다.
    병 .
    파도를 보트의 횡방향에서 받는 것은 대단히 위험하다.
    정 .
    보트의 위치를 항상 파악하도록 노력한다.
    정답 : 을
  • 43.
    연해구역 항행 보트에 탑재되어 있는 팽창식 구명뗏목(Life Raft)의 탑재 의장품으로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생존지침서
    을 .
    행동지침서
    병 .
    분해지침서
    정 .
    구명신호설명표
    정답 : 병
  • 44.
    선미가 얹혔을 때의 조치로 맞는 것은?
    갑 .
    기관을 사용하여 후진한다.
    을 .
    앵커를 이용하여 자력 이초를 시행한다.
    병 .
    선수를 앵커 등으로 고정시킨다.
    정 .
    선미 흘수를 줄인 후 기관을 사용한다.
    정답 : 정
  • 45.
    화재 발생 시 유의 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.
    갑 .
    화재 발생원이 풍상측에 있도록 보트를 돌리고 엔진을 정지한다.
    을 .
    엔진룸 화재와 같은 B급 유류 화재에는 대부분의 소화기 사용이 가능하다.
    병 .
    화재 예방을 위해 기름이나 페인트가 묻은 걸레는 공기가 잘 통하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.
    정 .
    C급 화재인 전기화재에 물이나 분말소화기는 부적합하여 포말소화기나 이산화탄소(Co2) 소화기를 사용한다.
    정답 : 을
  • 46.
    임의좌주(임시좌주, Beaching)를 위해 적당한 해안을 선정할 때 유의사항으로 옳은 것은?
    갑 .
    해저가 모래나 자갈로 구성된 곳은 피한다.
    을 .
    경사가 완만하고 육지로 둘러싸인 곳을 선택한다.
    병 .
    임의좌주 후 자력 이초를 고려하여 강한 조류가 있는 곳을 선택한다.
    정 .
    임의좌주 후 자력 이초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갯벌로 된 곳을 선택한다.
    정답 : 을
  • 47.
    해양사고 대처에 있어 다음 보기와 같은 판단들은 무엇을 시도하기 전에 고려할 사항인가?
    갑 .
    충돌
    을 .
    접촉
    병 .
    좌초
    정 .
    이초
    정답 : 정
  • 48.
    해상에서 선박 간 충돌 또는 장애물과의 접촉 사고 시에 조치하여야 할 사항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충돌을 피하지 못할 상황이라면 타력을 줄인다.
    을 .
    충돌이나 접촉 직후에는 기관을 전속으로 후진하여 충돌 대상과 안전거리 확보가 우선이다.
    병 .
    파공이 크고 침수가 심하면 격실 밀폐와 수밀문을 닫아서 충돌 또는 접촉된 구획만 침수되도록 한다.
    정 .
    충돌 후 침몰이 예상되는 상황이면 해상으로 탈출을 대비하여야 하며, 수심이 낮은 곳에 임의 좌주를 고려한다.
    정답 : 을
  • 49.
    다음은 좌초 후 자력으로 이초할 때 유의사항으로 가장 옳은 것은?
    갑 .
    암초 위에 얹힌 경우, 구조가 될 때까지 무작정 기다린다.
    을 .
    저조가 되기 직전에 시도하고 바람, 파도, 조류 등을 이용한다.
    병 .
    선체 중량을 경감 할 필요가 있을 땐 이초 시작 직 후에 실시한다.
    정 .
    갯벌에 얹혔을 때에는 선체를 좌우로 흔들면서 기관을 사용하면 효과적이다.
    정답 : 정
  • 50.
    다음 중 선박의 속력 단위로 올바른 것은?
    갑 .
    킬로미터
    을 .
    노트
    병 .
    마일
    정 .
    피트
    정답 : 을
  • 51.
    다음 중 좁은 수로에서 보트 운항자가 주의하여야 할 것으로 옳은 것은?
    갑 .
    속력이 너무 빠르면 조류영향을 크게 받으며, 타의 효력도 나빠져서 조종이 곤란할 수 있다.
    을 .
    야간에는 보트의 조종실 등화를 밝게 점등하여 타 선박이 나의 존재를 확인하기 쉽도록 한다.
    병 .
    음력 보름 만월인 야간에는 해면에 파랑이 있고 달이 후방에 있을 때가 전방 경계에 용이하다.
    정 .
    일시에 대각도 변침을 피하고, 조류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선체가 가로 놓이게 되면 조류 영향을 크게 받는다.
    정답 : 정
  • 52.
    항해 중 해도를 이용할 때 주의사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을 고르시오
    갑 .
    해저의 요철이 불규칙한 곳을 항행한다.
    을 .
    등심선이 기재되지 않은 것은 측심이 정확한 곳이다.
    병 .
    수심이 고르더라도 수심이 얕고 저질이 암초인 공백지를 항행한다.
    정 .
    자세히 표현된 구역은 수심이 복잡하게 기재되었더라도 정밀하게 측량된 것으로 볼 수 있다.
    정답 : 정
  • 53.
    다음 중 1해리를 미터 단위로 환산한 것으로 올바른 것은?
    갑 .
    1,582m
    을 .
    1,000m
    병 .
    1,852m
    정 .
    1,500m
    정답 : 병
  • 54.
    조류의 유속은 ( )의 모양에 따라 예측이 가능하다.
    갑 .
    북두칠성
    을 .
    병 .
    태양
    정 .
    뭉게구름
    정답 : 을
  • 55.
    해도에서 수심이 같은 장소를 연결한 선을 무엇이라 하는가?
    갑 .
    경계선
    을 .
    등고선
    병 .
    등압선
    정 .
    등심선
    정답 : 정
  • 56.
    해안선을 나타내는 경계선의 기준은?
    갑 .
    약최저저조면
    을 .
    기본수준면
    병 .
    평균수면
    정 .
    약최고고조면
    정답 : 정
  • 57.
    다음 중 해도에 나타나지 않는 것은?
    갑 .
    조류속도
    을 .
    조류방향
    병 .
    수심
    정 .
    풍향
    정답 : 정
  • 58.
    다음 중 조차가 극대가 될 때의 조석을 무엇이라 하는가?
    갑 .
    고조
    을 .
    대조
    병 .
    만조
    정 .
    분점조
    정답 : 을
  • 59.
    조석현상 중 창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    갑 .
    저조에서 고조로 되기까지 해면이 점차 높아지는 상태이다.
    을 .
    고조에서 저조로 되기까지 해면이 점차 낮아지는 상태이다.
    병 .
    고조와 저조시에 해면의 승강운동이 순간적으로 거의 정지한 것 같이 보이는 상태이다.
    정 .
    조석으로 인하여 해면이 가장 낮아진 상태이다.
    정답 : 갑
  • 60.
    기조력에 의해 일어나는 해수의 수평운동을 무엇이라고 하는가?
    갑 .
    조류
    을 .
    조석
    병 .
    파도
    정 .
    풍랑
    정답 : 갑