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 페이지는 이그리프 솔루션 데모페이지입니다.

02-867-0508 솔루션 문의하기

Exam Study 전체 문제를 확인하고 공부하세요.

  • 81.
    찬 공기가 따뜻한 수면 또는 습한 지면 위를 이동할 때 증발에 의해 형성된 안개는 무엇인가?
    갑 .
    복사무
    을 .
    전선무
    병 .
    활승무
    정 .
    증기무
    정답 : 정
  • 82.
    계절풍의 설명으로 틀린 것을 고르시오.
    갑 .
    계절풍은 대륙과 해양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 된다.
    을 .
    겨울에는 육지에서 대양으로 흐르는 한랭한 기류인 북서풍이 분다.
    병 .
    여름에는 바다는 큰 고기압이 발생하고 육지는 높은 온도로 저압부가 되어 남동풍이 불게 된다.
    정 .
    겨울에는 대양에서 육지로 흐르는 한랭한 기류인 남동풍이 분다.
    정답 : 정
  • 83.
    다음 중 바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.
    갑 .
    해륙풍은 낮에 바다에서 육지로 해풍이 불고, 밤에는 육지에서 바다로 육풍이 분다.
    을 .
    같은 고도에서도 장소와 시각에 따라 기압이 달라지고 이러한 기압차에 의해 바람이 분다.
    병 .
    북서풍이란 남동쪽에서 북서쪽으로 바람이 부는 것을 뜻한다.
    정 .
    하루 동안 낮과 밤의 바람 방향이 거의 반대가 되는 바람의 종류를 해륙풍이라 한다.
    정답 : 병
  • 84.
    해도에 표기된 조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    갑 .
    해도에 표기된 조류의 방향 및 속도는 측정치의 최대방향과 최소속도이다.
    을 .
    해도에 표기된 조류의 방향 및 속도는 측정치의 최대방향과 최대속도이다.
    병 .
    해도에 표기된 조류의 방향 및 속도는 측정치의 평균방향과 평균속도이다.
    정 .
    해도에 표기된 조류의 방향 및 속도는 측정치의 최소방향과 최소속도이다.
    정답 : 병
  • 85.
    다음 중 하루 동안 발생되는 해륙풍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    갑 .
    해풍은 일반적으로 육풍보다 강한 편이다.
    을 .
    해륙풍의 원인은 맑은 날 일사가 강하여 해면보다 육지 쪽이 고온이 되기 때문이다.
    병 .
    낮과 밤에 바람의 영향이 거의 반대가 되는 현상은 해륙풍의 영향이다.
    정 .
    밤에는 육지에서 바다로 해풍이 분다.
    정답 : 정
  • 86.
    해상 안개인 해무(이류무)의 설명으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.
    갑 .
    밤에 지표면의 강한 복사냉각으로 발생된다.
    을 .
    전선을 경계로 하여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의 온도차가 클 때 발생하기 쉽다.
    병 .
    안개의 범위가 넓고 지속시간도 길어서 때로는 며칠씩 계속될 때도 있다.
    정 .
    안개가 국지적인 좁은 범위의 안개이다.
    정답 : 병
  • 87.
    우리나라 기상청 특보 중 해양기상 특보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를 고르시오.
    갑 .
    강풍, 지진해일, 태풍 (주의보․경보)
    을 .
    강풍, 폭풍해일, 태풍 (주의보․경보)
    병 .
    강풍, 폭풍해일, 지진해일, 태풍 (주의보․경보)
    정 .
    풍랑, 폭풍해일, 지진해일, 태풍 (주의보․경보)
    정답 : 정
  • 88.
   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해양의 기상이 나빠진다는 징조이다. 틀린 것은?
    갑 .
    뭉게구름이 나타난다.
    을 .
    기압이 내려간다.
    병 .
    바람방향이 변한다.
    정 .
    소나기가 때때로 닥쳐온다.
    정답 : 갑
  • 89.
    소화기, 구명조끼 등 안전장비를 비치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?
    갑 .
    선실 전체 고르게 비치
    을 .
    선실 입구에 비치
    병 .
    선내 창고에 비치
    정 .
    조종석 인근에 비치
    정답 : 갑
  • 90.
    개방성 상처의 응급처치 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상처주위에 관통된 이물질이 보이더라도 현장에서 제거하지 않는다.
    을 .
    손상부위를 부목을 이용하여 고정한다.
    병 .
    무리가 가더라도 손상부위를 움직여 정확히 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.
    정 .
    상처부위에 소독거즈를 대고 압박하여 지혈 시킨다.
    정답 : 병
  • 91.
    골절 시 나타나는 증상과 징후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손상 부위를 누르면 심한 통증을 호소한다.
    을 .
    손상부위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.
    병 .
    골절 부위의 골격끼리 마찰되는 느낌이 있을 수 있다.
    정 .
    관절이 아닌 부위에서 골격의 움직임은 관찰되지 않는다.
    정답 : 정
  • 92.
    다음 설명하는 화상의 정도는 몇도 화상인가?
    갑 .
    1도 화상
    을 .
    2도 화상
    병 .
    3도 화상
    정 .
    4도 화상
    정답 : 을
  • 93.
    저체온증은 보통 체온이 몇도 이하일 때를 말하는가?
    갑 .
    35℃이하
    을 .
    34℃이하
    병 .
    33℃이하
    정 .
    37℃이하
    정답 : 갑
  • 94.
    지혈대 사용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다른 지혈방법을 사용하여도 외부 출혈이 조절 불가능할 때 사용을 고려할 수 있다.
    을 .
    팔, 다리관절 부위에도 사용이 가능하다.
    병 .
    지혈대 적용 후 반드시 착용시간을 기록한다.
    정 .
    지혈대를 적용했다면 가능한 신속히 병원으로 이송한다.
    정답 : 을
  • 95.
    상처를 드레싱 하는 목적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드레싱은 지혈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.
    을 .
    드레싱은 상처 오염을 예방하기 위함이다.
    병 .
    드레싱이란 상처부위를 소독거즈나 붕대로 감는 것도 포함된다.
    정 .
    상처부위를 고정하기 전 드레싱이 필요하다.
    정답 : 갑
  • 96.
    심폐소생술을 시작한 후에는 불필요하게 중단해서는 안 된다. 불가피하게 중단할 경우 얼마를 넘지 말아야 하는가?
    갑 .
    10초
    을 .
    15초
    병 .
    20초
    정 .
    30초
    정답 : 갑
  • 97.
    심폐소생술 시행 중 완전한 가슴이완이 필요한 가장 적합한 이유는 무엇인가?
    갑 .
    구조자의 피로도 감소
    을 .
    흉강내부 압력 증가
    병 .
    심장으로 정맥 환류
    정 .
    심장박출량 감소
    정답 : 병
  • 98.
    심폐소생술 시행 중 인공호흡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가슴 상승이 눈으로 확인될 정도의 호흡량으로 불어 넣는다.
    을 .
    기도를 개방한 상태에서 인공호흡을 실시한다.
    병 .
    인공호흡양이 많고 강하게 불어 넣을수록 환자에게 도움이 된다.
    정 .
    너무 많은 양의 인공호흡은 위팽창과 그 결과로 역류, 흡인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.
    정답 : 병
  • 99.
    성인 심정지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때 적절한 가슴 압박속도는 얼마인가?
    갑 .
    분당 100∼120회
    을 .
    분당 120∼140회
    병 .
    분당 70∼90회
    정 .
    분당 60∼80회
    정답 : 갑
  • 100.
    흡입화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흡입화상은 화염이나 화학물질을 흡입하여 발생하며 짧은 시간 내에 호흡기능상실로 진행 될 수 있다.
    을 .
    초기에 호흡곤란 증상이 없었더라면 정상으로 볼 수 있다.
    병 .
    흡입 화상으로 인두와 후두에 부종이 발생될 수 있다.
    정 .
    흡입 화상 시 안면 또는 코털 그을림이 관찰될 수 있다.
    정답 : 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