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 페이지는 이그리프 솔루션 데모페이지입니다.

02-867-0508 솔루션 문의하기

Exam Study 전체 문제를 확인하고 공부하세요.

  • 1301.
    다음은 해사안전법상 좁은 수로에서의 항법에 대한 설명이다. 옳은 것으로만 묶여진 것은?
    갑 .
    ①, ②
    을 .
    ②, ③
    병 .
    ②, ④
    정 .
    ③, ④
    정답 : 병
  • 1302.
    상대보트의 추월신호에 대하여 동의할 때의 자선의 음향 신호는?
    갑 .
    장음 - 단음 - 단음
    을 .
    장음 - 장음 - 단음
    병 .
    단음 - 장음 - 장음 - 단음
    정 .
    장음 - 단음 - 장음 - 단음
    정답 : 정
  • 1303.
    해사안전법상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인증심사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최초인증심사
    을 .
    갱신인증심사
    병 .
    중간인증심사
    정 .
    특별인증심사
    정답 : 정
  • 1304.
    보트나 부이에서 적백색 사선이 있는 깃발을 흔들고 있을 때, 깃발이 뜻하는 의미는?
    갑 .
    스쿠버 다이빙을 하고 있다.
    을 .
    낚시를 하고 있다.
    병 .
    수상스키를 타고 있다.
    정 .
    모터보트 경기를 하고 있다.
    정답 : 갑
  • 1305.
    다음 중 해사안전법상 해상교통의 장애가 되는 스쿠버다이빙, 윈드서핑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되는 수역을 정하여 고시하여야 하는 자는?
    갑 .
    해양경찰청장
    을 .
    해양수산부장관
    병 .
    해양경찰서장
    정 .
    시·도지사
    정답 : 병
  • 1306.
    해사안전법상 선박은 연안통항대에 인접한 통항분리수역의 통항로를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는 경우에는 통항대를 따라 항행하여서는 아니 된다. 이에 대한 예외로서 연안통항대를 따라 항행할 수 있는 선박으로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길이 20m 미만의 선박
    을 .
    어로에 종사하고 있는 선박
    병 .
    고속 여객선
    정 .
    인접한 항구로 입항·출항하는 선박
    정답 : 병
  • 1307.
    해상에서 발생한 조난선박 통보의 내용 중 필수 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    갑 .
    선종 또는 선명
    을 .
    기관의 종류 및 마력
    병 .
    조난위치
    정 .
    침로와 속력
    정답 : 을
  • 1308.
    다음은 해사안전법상 통항분리수역 항행 시 준수사항이다. 옳은 것으로만 묶인 것은?
    갑 .
    ①, ②
    을 .
    ①, ③
    병 .
    ②, ③
    정 .
    ③, ④
    정답 : 을
  • 1309.
    해상교통여건 등을 고려하여 지정 고시하는 수역에서 모터보트 등을 이용 해양 레저활동을 하고자 할 때 허가권자는?
    갑 .
    해양수산부장관
    을 .
    해양경찰청장
    병 .
    지방해양수산청장
    정 .
    해양경찰서장
    정답 : 정
  • 1310.
    해사안전법상 통항분리수역에서의 항행방법에 대한 설명이다.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선박은 연안통항대에 인접한 통항분리수역의 통항로를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는 경우에는 연안통항대를 따라 항행하여서는 아니 된다.
    을 .
    길이 20미터 미만의 선박, 범선 등은 연안통항대를 따라 항행할 수 있다.
    병 .
    통항분리수역에서 어로에 종사하고 있는 선박은 통항로를 따라 항행하는 다른 선박의 항행을 방해하여서는 아니 된다.
    정 .
    통항분리수역 안에서 항행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작업을 하는 선박(조종성능제한 없음)은 통항분리수역의 출입구 부근에 정박할 수 있다.
    정답 : 정
  • 1311.
    다음은 해사안전법상 선박의 등화에 대한 설명이다.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전주등이란 360도에 걸치는 수평의 호를 비추는 등화(섬광등은 제외)
    을 .
    예선등이란 선미등과 같은 특성을 가진 흰색 등
    병 .
    섬광등이란 360도에 걸치는 수평의 호를 비추는 등화로서 일정한 간격으로 1분에 120회 이상 섬광을 발하는 등
    정 .
    선미등이란 135도에 걸치는 수평의 호를 비추는 흰색 등으로서 그 불빛이 정선미 방향으로 양쪽 현의 67.5도까지 비출 수 있도록 선미 부분 가까이에 설치된 등
    정답 : 을
  • 1312.
    다음은 해사안전법상 통항 우선권에 대한 설명이다. 옳은 것은?(다른 예외적인 사항은 고려하지 않는다)
    갑 .
    항행 중인 동력선 〈 어로에 종사하고 있는 선박 〈 범선 〈 흘수제약선 〈 조종불능선
    을 .
    항행 중인 동력선 〈 범선 〈 어로에 종사하고 있는 선박 〈 조종불능선 〈 흘수제약선
    병 .
    항행 중인 동력선 〈 범선 〈 어로에 종사하고 있는 선박 〈 흘수제약선 〈 조종불능선
    정 .
    항해 중인 동력선 〈 어로에 종사하고 있는 선박 〈 범선 〈 조종불능선 〈 흘수제약선
    정답 : 병
  • 1313.
    선박의 조종성능을 제한하는 고장이나 그 밖의 사유로 조종을 할 수 없게 되어 다른 선박의 진로를 피할 수 없는 선박을 무엇이라 하는가?
    갑 .
    조종불능선
    을 .
    조종제한선
    병 .
    예인선
    정 .
    흘수제약선
    정답 : 갑
  • 1314.
    다음은 해사안전법상 상호시계 내에 있는 2척의 동력선의 마주치는 상태에서의 항법이다.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척의 동력선이 마주치거나 거의 마주치게 되어 충돌의 위험이 있을 때에는 각 동력선은 서로 다른 선박의 우현 쪽을 지나갈 수 있도록 침로를 우현 쪽으로 변경하여야 한다.
    을 .
    야간에 2개의 상대선박의 양쪽의 현등을 볼 수 있는 경우 마주치는 상태에 있는 경우이다.
    병 .
    주간에 2척의 선박의 마스트가 선수에서 선미까지 일직선이 되거나 거의 일직선이 되는 경우 마주치는 상태에 있는 경우이다.
    정 .
    선박은 마주치는 상태에 있는지가 분명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정확한 정보 판단을 위해 침로와 속력을 유지하여야 한다.
    정답 : 정
  • 1315.
    다음 중 선박이 통항하는 항로, 속력 및 그 밖에 선박 운항에 관한 사항을 지정하는 제도를 무엇이라 하는가?
    갑 .
    선박교통관제
    을 .
    항로지정제도
    병 .
    연안통항대
    정 .
    분리선
    정답 : 을
  • 1316.
    해사안전법에서 말하는 선박의 폭을 나타낸 설명은?
    갑 .
    선박 길이의 종방향 외판의 외면으로부터 반대쪽 외판의 외면 사이의 최대 수평거리
    을 .
    선박 길이의 횡방향 외판의 내면으로부터 반대쪽 외판의 내면 사이의 최대 수평거리
    병 .
    선박 길이의 횡방향 외판의 외면으로부터 반대쪽 외판의 외면 사이의 최대 수평거리
    정 .
    선박 길이의 횡방향 외판의 외면으로부터 반대쪽 외판의 외면 사이의 최대 수직거리
    정답 : 병
  • 1317.
    통항분리수역의 육지 쪽 경계선과 해안 사이의 수역을 무엇이라 하는가?
    갑 .
    통항분리제도
    을 .
    분리선
    병 .
    연안통항대
    정 .
    항로지정제도
    정답 : 병
  • 1318.
    다음은 해사안전법상 추월 항법에 대한 설명이다.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선박은 스스로 다른 선박을 추월하고 있는지 분명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추월선으로 보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.
    을 .
    다른 선박의 양쪽 현의 정횡으로부터 22.5도를 넘는 뒤쪽에서 그 선박을 앞지르는 선박은 추월선으로 보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.
    병 .
    야간에 앞 선박의 선미등만 볼 수 있고 어느쪽의 현등도 볼수 없는 경우, 뒤 선박은 추월선으로 보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.
    정 .
    추월하면서 2척 선박 사이의 방위 변화가 생겨 앞 선박의 양쪽 정횡으로부터 22.5도 이내가 되는 경우 추월상황은 종료된다.
    정답 : 정
  • 1319.
    해사안전법상 (항행 중이나 정박 중에 있지 않은) 도선선이 표시해야 하는 등화로서 옳은 것은?(다른 예외적인 사정은 고려하지 않는다.)
    갑 .
    마스트의 꼭대기나 그 부근에 수직선 위아래쪽에 흰색 전주등 각 1개
    을 .
    마스트의 꼭대기나 그 부근에 수직선 위아래쪽에 붉은색 전주등 각 1개
    병 .
    마스트의 꼭대기나 그 부근에 수직선 위쪽에는 흰색 전주등, 아래쪽에는 붉은색 전주등 각 1개
    정 .
    마스트의 꼭대기나 그 부근에 수직선 위쪽에는 붉은색 전주등, 아래쪽에는 흰색 전주등 각 1개
    정답 : 병
  • 1320.
    해사안전법상 선박은 다른 선박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적절하고 효과적인 동작을 취하거나 당시의 상황에 알맞은 거리에서 선박을 멈출 수 있도록 항상 안전한 속력으로 항행하여야 한다. 다음 중 안전한 속력을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?
    갑 .
    해상교통량의 밀도
    을 .
    레이더의 특성 및 성능
    병 .
    선박의 운항가능 거리
    정 .
    바람·해면 및 조류의 상태와 항행장애물의 근접상태
    정답 : 병