다음 중 선박으로부터의 오염물질 배출을 신고하려는 자가 신고 시 신고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?
갑 .
해양오염사고의 발생일시, 장소 및 원인
을 .
배출된 오염물질의 확산상황과 응급조치상황
병 .
부상자의 신원
정 .
해면상태 및 기상상태
정답 :
병
1383.
다음 중 선박의 주기관·보조기관 또는 보일러에 소각할 수 있는 물질은?
갑 .
폴리염화비페닐(PCB)
을 .
선박의 항해 중에 발생한 유성찌꺼기 및 하수찌꺼기
병 .
화물로 운송되는 기름의 잔류물과 그 물질에 오염된 포장재
정 .
할로겐화합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정제된 석유제품
정답 :
을
1384.
다음 중 IMO기준의 형식승인을 받은 선내 소각기로 소각할 수 있는 물질은?
갑 .
화물로 운송되는 기름의 잔류물과 그 물질에 오염된 포장재
을 .
폴리염화비페닐(PCB)
병 .
폴리염화비닐(PVC)
정 .
배기가스정화장치의 잔류물
정답 :
병
1385.
영해기선으로부터 3해리 이상의 해역에 버릴 수 있는 음식찌꺼기의 크기는?
갑 .
25㎜ 이하
을 .
25㎜ 이상
병 .
50㎜ 이하
정 .
50㎜ 이상
정답 :
갑
1386.
선박을 해체하고자 하는 자는 선박의 해체작업과정에서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아니하도록 작업계획을 수립하여 작업개시 며칠 전까지 해양경찰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하나?
갑 .
7일
을 .
10일
병 .
14일
정 .
21일
정답 :
갑
1387.
휘발성유기화합물에 의한 대기오염 방지를 위해 유증기배출제어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 물질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?
갑 .
휘발유(Gasoline)
을 .
경유(diesel)
병 .
나프다(Naphtha)
정 .
원유(Crude Oil)
정답 :
을
1388.
다음 중 선박에서 분뇨를 배출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?
갑 .
형식승인 분뇨처리장치를 통해 배출
을 .
형식승인 분뇨마쇄소독장치를 통해 영해기선 3해리 이상 4노트 이상 속력으로 서서히 배출
병 .
분뇨저장장치를 통해 영해기선 12해리 이상 4노트 이상 속력으로 서서히 배출
정 .
분뇨오염방지설비 미설치 대상은 계류 중에 배출
정답 :
정
1389.
다음 중 국제대기오염방지증서 상 관리하고 있는 물질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?
갑 .
검댕(Soot)
을 .
질소산화물(NOx)
병 .
오존층파괴물질
정 .
휘발성유기화합물(VOCs)
정답 :
갑
1390.
다음 중 선박의 해양오염방지관리인을 교육하는 기관으로 가장 옳은 곳은?
갑 .
국립환경인재개발원
을 .
해양환경교육원
병 .
한국해양수산연수원
정 .
해양수산인재개발원
정답 :
을
1391.
고의로 선박 또는 해양시설로부터 기름·유해액체물질·포장유해물질을 배출한 자가 받을 수 있는 벌칙은?
갑 .
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
을 .
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
병 .
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
정 .
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
정답 :
갑
1392.
무선국 개설허가를 받은 자는 그 무선설비가 기술기준 및 무선종사자의 자격·정원배치기준에 적합한지의 여부에 대하여 준공검사를 받아야 한다. 다음 중 준공검사를 받지 아니하고 운용할 수 있는 무선국이 아닌 것은?
갑 .
30와트 미만의 무선설비를 시설하는 어선의 선박국
을 .
적합성평가를 받은 무선기기를 사용하는 어선의 선박국
병 .
국가안보 또는 대통령 경호를 위하여 개설하는 무선국
정 .
공해 또는 극지역에 개설한 무선국
정답 :
을
1393.
다음 중 2.92[GHz] 이상 3.1[GHz]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선박국용 레이다의 기술기준으로 옳은 것은?
갑 .
전원 인가 후 3분 이내에 정상 동작할 수 있어야 하며, 동일방위에서 서로 100미터 떨어진 2개의 목표를 구별할 수 있을 것
을 .
전원 인가 후 4분 이내에 정상 동작할 수 있어야 하며, 방위각 3도 이내의 동 거리에 있는 2개의 목표를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을 것
병 .
전원 인가 후 5분 이내에 정상 동작할 수 있어야 하며, 1.5킬로미터 거리에 있는 목표를 2도 이내의 오차로 측정할 수 있을 것
정 .
전원 인가 후 5분 이내에 정상 동작할 수 있어야 하며, 지시기 표시면의 유효직경은 34센티미터 이상일 것
정답 :
병
1394.
해안국, 선박국은 조난통신을 수신한 경우에는 다른 모든 무선통신에 우선하여 즉시 응답하고 조난을 당한 선박이나 항공기를 구조하기 위하여 가장 편리한 위치에 있는 무선국에 통보하는 등 최선의 조치를 하여야한다. 이를 1차 위반하였을 경우 무선종사자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으로 옳은 것은?
갑 .
기술자격 취소
을 .
업무종사 정지 6개월
병 .
업무종사 정지 1년
정 .
업무종사 정지 2년
정답 :
병
1395.
조난선박국이 그 선체를 포기하고자 하는 경우, 송신설비는 어떤 상태로 두는 것이 바람직한가?
갑 .
전파를 계속 발사하는 상태로 둔다.
을 .
파기절차에 따라 즉시 파기한다.
병 .
모든 전원을 OFF하여 감전사고를 예방한다.
정 .
송신장치와 송신안테나의 연결을 끊는다.
정답 :
갑
1396.
다음 중 평수구역을 항해구역으로 하는 선박이 설치해야 할 무선설비는 무엇인가?
갑 .
중단파대 무선설비(무선전화 및 디지털선택호출장치)
을 .
네비텍스수신기(NAVTEX)
병 .
레이더트랜스폰더(SART)
정 .
초단파대 무선설비(무선전화 및 디지털선택호출장치)
정답 :
정
1397.
다음 중 선박의 초단파대 양방향무선전화장치의 기술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?
갑 .
기기를 사용자의 옷에 붙일 수 있는 장치와 손목 또는 목에 걸 수 있는 끈이 있을 것
을 .
전원 공급 후 5초 이내에 작동할 수 있을 것
병 .
156.8[MHz]를 포함한 2파 이상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을 것
정 .
전지의 용량은 해당 무선전화를 6시간 이상 작동할 수 있을 것
정답 :
정
1398.
다음의 조난통신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?
갑 .
항무용 VHF 무선설비의 국제 조난 청취 주파수는 채널 16번(156.8Mhz)이다.
을 .
국제 조난 처리 절차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조난경보(Distress Alert)를 발신하는 것이다.
병 .
디지털 선택호출(Digital Selective Calling) 기능을 사용하여 조난경보가 발신된다.
정 .
항무용 VHF 무선설비의 경우 조난경보(Distress Alert)는 채널 16번(156.8Mhz)을 사용하여 통달거리에 있는 무선국을 자동으로 호출하게 된다.
정답 :
정
1399.
항해하는 선박에 기상 및 항행경보 등 선박의 안전항해와 관련된 해사안전정보를 제공하는 설비를 무엇이라 하는가?