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 페이지는 이그리프 솔루션 데모페이지입니다.
02-867-0508
솔루션 문의하기
홈
시험풀기
시험결과
문제암기
커뮤니티
로그인
회원가입
관리자
Exam Study
전체 문제를 확인하고 공부하세요.
1181.
다음 중 수상레저안전법 시행규칙 제17조 규정에 의해 일정한 조건하에 무면허 조종이 허용되는 수상레저활동 관련단체와 거리가 먼 것은?
갑 .
청소년기본법에 의한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가맹단체
을 .
사단법인 한국수상레저협회
병 .
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청소년 수련원
정 .
국민체육진흥법에 의한 대한체육회 가맹단체
정답 : 을
1182.
영업구역이 ( ) 해리 이상인 경우에는 수상레저기구에 사업장 또는 가까운 무선국과 연락할 수 있는 통신장비를 갖추어야 한다. 괄호 안에 알맞은 숫자는?
갑 .
1
을 .
2
병 .
3
정 .
4
정답 : 을
1183.
수상레저안전법상 야간 수상레저활동을 하려는 사람이 갖추어야 하는 운항장비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?
갑 .
항해등
을 .
호루라기
병 .
통신기기
정 .
야간 조난신호장비
정답 : 을
1184.
동력수상레저기구 조종면허시험의 합격자에게 합격일로부터 며칠 이내에 조종면허증을 발급해야 하는가?
갑 .
7일
을 .
14일
병 .
20일
정 .
30일
정답 : 을
1185.
수상레저사업 휴업 또는 폐업신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갑 .
기관고장이 있는 경우 당일 신고한다.
을 .
휴업 또는 폐업인 경우 수상레저사업증을 첨부 한다.
병 .
수상레저사업자는 휴업·폐업·재개업 3일전까지 등록관청에 신고한다.
정 .
휴·폐업 신고를 받은 관청은 그 사실을 관할 세무서에 통보한다.
정답 : 갑
1186.
다음 중 수상레저안전법상 수상레저활동 시 구명조끼를 착용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?
갑 .
요트 승선자
을 .
맨몸 수영자
병 .
모터보트 동승자
정 .
수상자전거 동승자
정답 : 을
1187.
수상레저안전법상 등록대상 동력수상레저기구의 정기검사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갑 .
개인소유 동력수상레저기구는 등록 후 5년마다 정기적으로 한다.
을 .
영업구역이 해수면인 경우 해양경찰청장에게 받는다.
병 .
수상레저사업에 이용되는 동력수상레저기구는 매 2년마다 검사한다.
정 .
검사를 하지 아니거나 검사에 합격하지 못한 동력수상레저기구는 수상레저활동에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.
정답 : 병
1188.
다음 중 면허 없는 사람이 면허가 필요한 수상레저기구를 조종할 수 있는 경우로 가장 적당하지 않은 것은?
갑 .
2급 조종면허 소지자와 동승하여 고무보트 조종
을 .
1급 조종면허 소지자 감독 하에 시험장에서 시험선 조종
병 .
1급 조종면허 소지자 감독 하에 수상레저사업장에서 수상 오토바이 조종
정 .
1급 조종면허 소지자 감독 하에 학교에서 모터보트 조종
정답 : 갑
1189.
수상레저활동자가 수상레저기구에 동승한 자의 사고로 인한 사망 또는 실종 시에 사고 사실을 신고하여야 할 기관으로 옳지 않은 것은?
갑 .
해양경찰관서·경찰관서
을 .
관계 행정기관
병 .
소방관서
정 .
시험 대행기관
정답 : 정
1190.
원거리 수상레저 활동의 신고내용으로 올바른 것은?
갑 .
출발항으로부터 10해리 이상 떨어진 곳에서 수상레저활동을 하고자 할 경우 해양경찰관서 또는 소방관서에 신고한다.
을 .
원거리 수상레저활동 신고 방법은 해양경찰관서 또는 경찰관서에 직접 방문하여야 한다.
병 .
동승한 자가 사고로 인하여 사망, 실종 또는 중상을 입은 경우에는 해양경찰관서 등 관계 행정기관에 신고한다.
정 .
동승한 자가 사고로 인하여 사망, 실종 또는 중상을 입은 경우의 신고사항으로는 사고의 원인, 가해자와 피해자, 가입된 보험회사명이다.
정답 : 병
1191.
수상레저기구 안전검사 유효기간 만료일 이후 검사를 받아야 하는 기한으로 옳은 것은?
갑 .
30일 이내
을 .
60일 이내
병 .
90일 이내
정 .
100일 이내
정답 : 갑
1192.
492. 다음 중 주취조종자에 대한 단속권이 없는 사람은?
갑 .
해양경찰청 소속 경찰공무원
을 .
시험대행기관장
병 .
서울특별시 한강관리사업소의 수상레저업무에 종사하는 자
정 .
시·군 또는 자치구의 수상레저업무에 종사하는 자
정답 : 을
1193.
다음 중 수상레저사업 등록관청과 영업구역의 연결이 옳은 것은?
갑 .
해양경찰서장 – 내수면, 해수면
을 .
자치구청장 – 인접 해수면, 내수면
병 .
경찰서장 – 내수면
정 .
시장·군수·구청장 – 내수면
정답 : 정
1194.
다음 수상레저사업장의 시설기준 중 옳지 않은 것은?
갑 .
노 또는 상앗대가 잇는 수상레저기구는 그 수의 10%에 해당하는 수의 예비용 노 또는 상앗대를 갖추어야 한다.
을 .
탑승정원 13인 이상인 동력수상레저기구에는 선실, 조타실, 기관실에 각각 1개 이상의 소화기를 갖추어야 한다.
병 .
무동력 수상레저기구에는 구명튜브 대신 드로우백을 갖출 수 있다.
정 .
(수상오토바이를 제외한) 탑승정원 5명이상인 수상레저기구에는 그 탑승정원의 30%에 해당하는 수의 구명튜브를 갖추어야 한다.
정답 : 정
1195.
레저기구 운항 규칙에 대한 설명이 올바른 것은?
갑 .
다이빙대, 계류장 및 교량으로부터 10m 이내의 구역이나 별도 고시된 구역에서는 20노트 이하의 속력으로 운항
을 .
다이빙대, 계류장 및 교량으로부터 30m 이내의 구역이나 별도 고시된 구역에서는 20노트 이하의 속력으로 운항
병 .
다이빙대, 계류장 및 교량으로부터 50m 이내의 구역이나 별도 고시된 구역에서는 10노트 이하의 속력으로 운항
정 .
다이빙대, 계류장 및 교량으로부터 20m 이내의 구역이나 별도 고시된 구역에서는 10노트 이하의 속력으로 운항
정답 : 정
1196.
레저기구 운항 규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갑 .
안전검사증에 지정된 항해구역 준수
을 .
충돌의 위험이 있는 때 다른 수상레저기구를 왼쪽에 두고 있는 수상레저기구가 진로를 피하여야 한다.
병 .
정면충돌 위험시 우현 쪽 변침
정 .
다른 기구와 같은 방향으로 운항 시 2m 이내 근접 금지
정답 : 을
1197.
다음 중 수상레저기구에 대한 검사를 받지 않고 운항한 사람에 대한 과태료 부과금액으로 옳은 것은?
갑 .
10일 이내의 경우 1만원, 10일 이후 1일마다 1만원
을 .
10일을 초과한 경우 5만원, 10일 이후 매 1일마다 2만원
병 .
10일을 초과한 경우 10만원, 10일 이후 매 1일마다 1만원
정 .
10일을 초과한 경우 10만원, 10일 이후 매 1일마다 2만원
정답 : 갑
1198.
야간 수상레저활동을 하려는 사람이 갖추어야 하는 운항장비 중 아닌 것을 모두 몇 개 인가?
갑 .
①, ③
을 .
③, ⑤
병 .
③, ⑥
정 .
②, ⑥
정답 : 병
1199.
요트조종면허 실기시험에서 로프 묶기에 해당하지 않은 매듭은?
갑 .
8자 묶기
을 .
보울라인(bowline) 묶기
병 .
클리트(cleat) 묶기
정 .
옭 매듭 묶기
정답 : 정
1200.
수상레저활동의 안전을 위하여 해양경찰서장, 시장, 군수, 구청장의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자의 과태료 기준은?
갑 .
1회 10만원
을 .
2회 15만원
병 .
3회 이상 20만원
정 .
상기 다 맞다.
정답 : 정
처음
이전
51
52
53
54
55
56
57
58
59
60
다음
맨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