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 페이지는 이그리프 솔루션 데모페이지입니다.

02-867-0508 솔루션 문의하기

Exam Study 전체 문제를 확인하고 공부하세요.

  • 1121.
    조종면허시험 면제를 위해 동력수상레저기구 관련 학과에서 이수하여야 할 동력수상레저기구에 관한 과목은 몇 학점인가?
    갑 .
    2학점 이상
    을 .
    6학점 이상
    병 .
    10학점 이상
    정 .
    15학점 이상
    정답 : 을
  • 1122.
    다음 중 조종면허를 받을 수 없는 경우로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무면허 조종으로 단속된 날부터 1년이 지난 자
    을 .
    조종면허가 취소된 날부터 1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
    병 .
    정신질환자 중 수상레저활동을 수행할 수 없다고 정하는 자
    정 .
    마약중독자 중 수상레저활동을 수행할 수 없다고 정하는 자
    정답 : 갑
  • 1123.
    다음 중 수상레저안전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해양경찰청장은 면허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한 자에 대하여 그 시험을 중지하게 하거나 무효로 할 수 있다.
    을 .
    시험의 중지 또는 무효의 처분을 받은 자는 그 시험 시행일부터 1년간 면허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.
    병 .
    최초의 면허증 갱신 기간은 면허증 발급일부터 기산하여 7년이 되는 날부터 6개월 이내
    정 .
    면허증을 갱신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갱신기간이 만료한 다음 날부터 조종면허의 효력은 정지된다.
    정답 : 을
  • 1124.
    다음은 수상레저기구의 정원초과금지와 관련된 사항이다.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당해기구의 정원을 초과하여 사람을 탑승하면 과태료 200만원이 부과된다.
    을 .
    등록대상 수상레저기구의 정원기준은 안전검사증에 기재된 정원을 말한다.
    병 .
    해난구조 등 기타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승선한 경우는 예외로 한다.
    정 .
    등록대상이 아닌 레저기구는 별도의 고시에 따른 정원 산출 계산 기준에 의해 정원을 산출한다.
    정답 : 갑
  • 1125.
    다음 중 수상레저안전법 적용이 제외되지 않는 행위는?
    갑 .
    낚시관리 및 육성법에 따른 낚시어선의 영업행위
    을 .
    국민체육진흥법에 의한 경기단체의 주관으로 실시되는 요트대회
    병 .
    체육시설의 설치․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해 등록된 요트의 영업행위
    정 .
    유선 및 도선사업법에 의해 신고 된 모터보트의 유선행위
    정답 : 을
  • 1126.
    수상레저사업장에 대한 안전점검 항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수상레저기구의 형식승인 여부
    을 .
    수상레저기구의 안전성
    병 .
    사업장 시설․장비 등이 등록기준에 적합한지의 여부
    정 .
    인명구조요원 및 래프팅가이드의 자격․배치기준 적합여부
    정답 : 갑
  • 1127.
    동력수상레저기구 안전검사 대행자가 지정취소통지서를 받았을 경우, 며칠 이내에 안전검사 대행기관 지정서를 반납하여야 하는가?
    갑 .
    3일
    을 .
    5일
    병 .
    14일
    정 .
    30일
    정답 : 정
  • 1128.
    다음 중 수상레저안전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해양경찰청장은 면허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한 자에 대하여 그 시험을 중지하게 하거나 무효로 할 수 있다.
    을 .
    시험의 중지 또는 무효의 처분을 받은 자는 그 시험 시행일부터 1년간 면허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.
    병 .
    최초의 면허증 갱신 기간은 면허증 발급일부터 기산하여 7년이 되는 날부터 6개월 이내
    정 .
    면허증을 갱신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갱신기간이 만료한 다음 날부터 조종면허의 효력은 정지된다.
    정답 : 을
  • 1129.
    다음 중 동력수상레저기구의 검사대행자가 갖추어야 하는 일반장비가 아닌 것을 모두 고르시오.
    갑 .
    ①, ⑥
    을 .
    ②, ③
    병 .
    ②, ⑤
    정 .
    ④, ⑥
    정답 : 정
  • 1130.
    다음 중 응시원서의 유효기간으로 옳은 것은?
    갑 .
    접수일부터 6개월
    을 .
    접수일부터 1년
    병 .
    필기시험 합격일 부터 6개월
    정 .
    필기시험 합격일 부터 2년
    정답 : 을
  • 1131.
    다음은 시장·군수·구청장이 처분을 결정할 수 있는 수상레저안전법 위반 사례다. 옳은 것은?
    갑 .
    수상레저기구를 등록하지 않고 운항한 때
    을 .
    수상레저기구 안전검사를 받지 않고 운항한 때
    병 .
    기상특보가 발효된 장소에서의 수상레저활동 행위
    정 .
    영업구역 제한에 대한 명령을 위반한 수상레저사업
    정답 : 병
  • 1132.
    다음 중 수상레저사업자의 안전점검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수상레저기구와 시설의 안전점검
    을 .
    영업구역의 기상․수상의 상태의 확인
    병 .
    종사자에 대한 안전교육
    정 .
    비상구조선의 배치
    정답 : 병
  • 1133.
    수상레저기구가 다이빙대·계류장·교량 등 위험발생요소가 많은 지역을 근접하여 운항하는 때에 지켜야 할 제한속력은 얼마인가?
    갑 .
    10knot 이하의 속력
    을 .
    15knot 이하의 속
    병 .
    20knot 이하의 속력
    정 .
    25knot 이하의 속력
    정답 : 갑
  • 1134.
    등록대상 동력수상레저기구에 대한 안전검사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신규검사
    을 .
    정기검사
    병 .
    임시검사
    정 .
    중간검사
    정답 : 정
  • 1135.
    다음 중 수상레저안전법상 수상레저 조종면허를 반드시 취소해야 하는 사유에 해당하는 것은 모두 몇 개인가?
    갑 .
    1개
    을 .
    2개
    병 .
    3개
    정 .
    4개
    정답 : 을
  • 1136.
    안전검사대행기관으로 지정받으려는 자가 해양경찰청장에게 제출해야하는 서류가 아닌 것은?
    갑 .
    검사업무규정
    을 .
    조종면허증 보유현황
    병 .
    사업계획서
    정 .
    안전검사원의 자격을 증명하는 서류
    정답 : 을
  • 1137.
    다음 중 수상레저안전법상 안전검사원의 자격으로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수상레저기구 안전검사업무에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
    을 .
    조종면허 2급 소지자로서 우수정비사업장에서 3년 이상 정비업무에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
    병 .
    수상레저우수사업장의 인증 및 형식승인 업무에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
    정 .
    선박안전법에 따른 선박검사관 또는 선박검사원의 자격요건에 해당하는 사람
    정답 : 을
  • 1138.
   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정신질환자(치매, 정신분열병, 분열형 정동장애, 양극성 정동장애, 재발성 우울장애, 알콜 중독)로서 전문의가 정상적으로 수상레저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고 인정하는 자는 수상레저 조종면허시험 응시가 가능하다.
    을 .
    부정행위로 인해 해당 시험의 중지 또는 무효처분을 받은 자는 그 시험 시행일로부터 2년간 면허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.
    병 .
    조종면허를 받지 아니하고 동력수상레저기구를 조종한 자로서 사람을 사상한 후 구호조치 등 필요한 조치를 하지 아니하고 도주한 자는 4년이 경과되어야 조종면허시험 응시가 가능하다.
    정 .
    조종면허가 취소된 날부터 2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는 조종면허 시험응시가 불가하다.
    정답 : 정
  • 1139.
    수상안전교육의 면제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?
    갑 .
    조종면허증을 갱신하는 시점부터 과거 1년 이내에 수상안전교육을 받은 경우
    을 .
    과거 1년 이내에 선원법에 따른 상급안전교육을 받은 경우
    병 .
    과거 1년 이내에 선원법에 따른 기초안전교육을 받은 경우
    정 .
    과거 1년 이내에 유선 및 도선사업법에 의해 해양경찰청에서 실시하는 교육을 이수한 경우
    정답 : 정
  • 1140.
    다음 중 수상레저기구의 변경등록 대상이 아닌 것은?
    갑 .
    매매․증여 등으로 소유권의 변경이 있는 때
    을 .
    소유자의 성명이나 수상레저기구의 명칭에 변경이 있을 때
    병 .
    수상레저기구가 말소되었을 때
    정 .
    수상레저기구의 임시검사에 합격했을 때
    정답 : 병