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 페이지는 이그리프 솔루션 데모페이지입니다.
02-867-0508
솔루션 문의하기
홈
시험풀기
시험결과
문제암기
커뮤니티
로그인
회원가입
관리자
Exam Study
전체 문제를 확인하고 공부하세요.
841.
구명뗏목 작동 및 취급 시에 대한 아래의 설명 중 옳은 것은?
갑 .
자동이탈장치에는 무조건 페인트 도색을 하면 안 된다.
을 .
기상 악화에 대비하여 별도의 고박장치를 단단히 매어두는 것이 좋다.
병 .
구명뗏목 팽창법 중 수동보다는 자동 이탈 때까지 기다린 후 탑승하는 것이 안전하다.
정 .
구명뗏목 정비 및 운반을 위한 취급 시 작동줄을 잡아 당겨서 이동시키는 것이 편리하다.
정답 : 갑
842.
구명부환에 줄로 연결하여 야간조난자의 위치를 밝힐 수 있는 것은?
갑 .
구명볼
을 .
자기점화등
병 .
낙하산부신호
정 .
발연부신호
정답 : 을
843.
아래 보기의 (괄호) 안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용어는?
갑 .
안전(Safety)
을 .
하네스(Harness)
병 .
스키퍼(Skipper)
정 .
보슨 체어(Bosun’s chair)
정답 : 병
844.
저체온증 처치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?
갑 .
필요시 119에 도움을 요청한다
을 .
신속히 부상자 상태를 파악하여 치명적인 상태(호흡정지, 심장마비)가 동반 되었는지 확인한다.
병 .
젖은 의복을 입힌 채로 담요를 덮어준다.
정 .
따뜻한 장소로 옮겨, 온찜질 등 몸을 따뜻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한다.
정답 : 병
845.
요트에 비치된 소화기 점검 중 내부 압력상태가 표시된 게이지의 바늘이 녹색 영역에 있어야만 정상 작동될 수 있는 소화기는?
갑 .
분말소화기
을 .
이산화탄소소화기
병 .
할론소화기
정 .
포말소화기
정답 : 갑
846.
화재 발생 시에 유의 할 사항으로 다음의 설명 중 옳은 것은?
갑 .
화재 발생원이 풍상측에 있도록 요트를 돌리고 엔진을 정지한다.
을 .
엔진룸 화재와 같은 B급 유류 화재에는 모든 종류의 소화기 사용이 가능하다.
병 .
화재 예방을 위해 기름이나 페인트가 묻은 걸레는 공기가 잘 통하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.
정 .
C급 화재인 전기화재에 물이나 분말소화기는 부적합하여 포말소화기나 이산화탄소(Co2) 소화기를 사용한다.
정답 : 을
847.
고통받는 사람을 기꺼이 도와주기 위하여 도덕적 의무를 이행하다가 예기치 않은 피해가 발생하더라도 고의나 중대한 과실이 없을 경우에는 민․형사상 책임을 면제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?
갑 .
선한 사마리아인 법
을 .
형사소송법
병 .
행정절차법
정 .
인명구조법
정답 : 갑
848.
심폐소생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갑 .
분당 100~120회의 속도로 가슴압박을 한다.
을 .
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비율은 30:2로 한다.
병 .
소아에게는 자동제세동기를 절대 사용해서는 안된다.
정 .
제세동기는 도착 즉시 사용한다.
정답 : 병
849.
저체온증 증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갑 .
저체온증 부상자는 체온이 35℃ 이하로 떨어진다.
을 .
맥박이 불규칙하고 느리다.
병 .
무감각해지고 정신이 희미해진다.
정 .
혈관이 확장된다.
정답 : 정
850.
길이 형식으로 되어 있는 튜브의 양끝을 연결하여 조난자의 겨드랑이 밑으로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구조장비는?
갑 .
레스큐 튜브
을 .
레스큐 캔
병 .
구명동의
정 .
구명환
정답 : 갑
851.
부목을 대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?
갑 .
골절부 상위 관절과 하위 관절을 고정해야 한다.
을 .
혈액순환에 장애를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.
병 .
부목에는 패드를 대어 사지에 상처를 내지 않도록 한다.
정 .
부목은 반드시 나무로 만들어진 것만 사용한다.
정답 : 정
852.
선박 간 충돌 또는 장해물과의 접촉 사고 시에 조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?
갑 .
충돌을 피하지 못할 상황이라면 속도를 줄인다.
을 .
충돌이나 접촉 직후에 곧바로 후진하여 충돌 대상과 거리 확보가 우선이다.
병 .
파공이 크고 침수가 심하면 격실 밀폐와 수밀문을 닫아서 손상된 구획만 침수되도록 한다.
정 .
충돌 후 침몰이 예상되면 해상 탈출에 대비하여야 하며, 수심이 낮은 곳에 임의 좌주를 고려한다.
정답 : 을
853.
다음은 좌초 후 자력으로 이초할 때 유의하여야 할 사항이다. 가장 옳은 설명을 고르면?
갑 .
암초 위에 얹힌 경우, 밀물이 되면 전복할 위험이 있다.
을 .
이초는 저조 직전에 시도하고 바람, 파도, 조류를 이용한다.
병 .
선체 중량의 경감이 필요 시 이초 시작 직후에 적재물품을 투하한다.
정 .
갯벌에 얹혔을 때에는 선체를 좌우로 흔들면서 기관을 사용하면 효과적이다.
정답 : 정
854.
일시적인 화끈거림과 부분적으로 쑤시는 듯한 통증을 나타내는 정도의 동상은?
갑 .
1도 동상
을 .
2도 동상
병 .
3도 동상
정 .
4도 동상
정답 : 갑
855.
선내외기(stern drive)엔진에서 경보(alarm)가 발생하는 경우 점검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?
갑 .
냉각장치의 냉각수 압력이 높을 때
을 .
엔진오일의 압력이 낮을 때
병 .
엔진하부(drive unit) 오일 레벨이 낮을 때
정 .
여름철 높은 습도로 인해 엔진출력이 떨어질 때
정답 : 정
856.
가솔린 기관(엔진)이 과열되는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?
갑 .
냉각수 취입구 막힘
을 .
냉각수 펌프 임펠러의 마모
병 .
윤활유 부족
정 .
점화시기가 너무 빠름
정답 : 정
857.
디젤기관에서 과급에 의한 운전상태를 무과급 운전상태와 비교한 것 중에서 올바른 것은?
갑 .
압축 초기의 압력이 낮다.
을 .
압축비를 약간 증가시킨다.
병 .
출력이 증대한다.
정 .
평균유효압력이 낮다.
정답 : 병
858.
선외기 가솔린엔진의 연료유에 해수가 유입되었을 때 엔진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?
갑 .
연료유 펌프 고장원인이 된다.
을 .
시동이 잘 되지 않는다.
병 .
해수 유입 초기에 진동과 엔진 꺼짐 현상이 발생한다.
정 .
윤활유가 오손된다
정답 : 정
859.
4행정 사이클 디젤기관의 실린더 헤드에 균열이 생기는 원인으로 옳지 못한 것은?
갑 .
열에 의한 부동팽창
을 .
냉각수 통로의 공기 체류
병 .
배기가스 통로의 카본 부착
정 .
순환 윤활유 압력의 과대
정답 : 정
860.
연료소모량이 많아지고, 출력이 떨어지는 직접적인 원인으로 옳은 것은?
갑 .
피스톤 및 실린더 마모가 심할 때
을 .
윤활유 온도가 높을 때
병 .
냉각수 압력이 낮은 때
정 .
연료유 공급압력이 높을 때
정답 : 갑
처음
이전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다음
맨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