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 페이지는 이그리프 솔루션 데모페이지입니다.

02-867-0508 솔루션 문의하기

Exam Study 전체 문제를 확인하고 공부하세요.

  • 821.
    쇼크는 신체의 어느 계통에 영향을 주는가?
    갑 .
    순환 및 호흡계통
    을 .
    호흡 및 신경계통
    병 .
    순환 및 신경계통
    정 .
    모든 신체계통
    정답 : 정
  • 822.
    심폐소생술의 가슴압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?
    갑 .
    가슴 가운데를 누른다.
    을 .
    가슴 왼쪽을 세게 누른다.
    병 .
    가슴 오른쪽을 세게 누른다.
    정 .
    정해진 위치 없이 아무곳이나 압박한다.
    정답 : 갑
  • 823.
    응급상황과 처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    갑 .
    응급처치는 생존과 사망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.
    을 .
    응급상황 시 단 몇 분 안에 생명을 구할 수 있는 도움을 줄 수도 있다.
    병 .
    내가 먼저 처치를 빨리 해주고 119에 신속히 신고한다.
    정 .
    응급상황 시 나 말고도 도와 줄 사람이 있을 것이므로 구경해도 좋다.
    정답 : 을
  • 824.
    물에 빠진 사람을 구조하여 살아 날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. 적당하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체온상태
    을 .
    항문의 수축
    병 .
    복부 팽창정도
    정 .
    동공의 확장상태
    정답 : 병
  • 825.
    쇼크 환자의 응급처치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?
    갑 .
    담요 등을 이용하여 체온 손실을 최소화한다.
    을 .
    처음에만 기도, 호흡, 순환을 확인한다.
    병 .
    심장으로 혈액흐름을 증가시키기 위해 앉은 자세를 취한다.
    정 .
    필요시에는 음식과 음료를 준다.
    정답 : 갑
  • 826.
    쇼크환자의 응급처지법 중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몸을 따뜻하게 한다.
    을 .
    구토증세가 있으면 머리를 바로 누인다.
    병 .
    머리를 낮추고 다리를 높게 유지한다.
    정 .
    흉부와 머리 손상환자는 수평으로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 한다.
    정답 : 을
  • 827.
    구조호흡 및 심폐소생술을 멈출 수 있는 시기가 아닌 것은?
    갑 .
    환자가 죽었다고 생각하거나 느꼈을 때
    을 .
    구급차가 도착하여 환자를 인계할 수 있을 때
    병 .
    환자의 의식과 호흡이 돌아왔을 때
    정 .
    구조자가 너무 지쳐 할 수 없을 때
    정답 : 갑
  • 828.
    다음 중 사지 절단 부위의 적절한 처치 방법은?
    갑 .
    절단부위를 차갑게 하고, 절단부위를 생리식염수로 씻는다.
    을 .
    절단부위에 지혈제를 뿌린다.
    병 .
    절단부위를 직접 얼음에 닿게 하여 보관한다.
    정 .
    절단부위를 거즈로 감싼 후, 비닐백에 밀봉하고 얼음이 채워진 비닐봉지에 넣어 보관한다.
    정답 : 정
  • 829.
    익수자 발견 시 행동요령을 순서대로 나열 한 것은?
    갑 .
    ㉢-㉠-㉡-㉣
    을 .
    ㉢-㉡-㉠-㉣
    병 .
    ㉠-㉢-㉡-㉣
    정 .
    ㉠-㉢-㉣-㉡
    정답 : 갑
  • 830.
    ‘피부가 하얗고 손상부위를 눌러도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정도의 화상은?
    갑 .
    1도 화상
    을 .
    2도 화상
    병 .
    3도 화상
    정 .
    답 없음
    정답 : 병
  • 831.
    성인 심정지 환자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부정맥은 심실세동이다. 심실세동의 처치법으로 가장 효과적인 것은?
    갑 .
    산소투여
    을 .
    인공호흡
    병 .
    제세동
    정 .
    가슴압박
    정답 : 병
  • 832.
    통상적으로 호흡이 정지되고 나면 뇌가 영구적인 손상을 입는데 걸리는 시간은?
    갑 .
    약 5분
    을 .
    약 30분
    병 .
    약 60분
    정 .
    약 120분
    정답 : 갑
  • 833.
    현장에서의 저체온증 처치방법은?
    갑 .
    출혈을 막는다.
    을 .
    사지를 마사지 한다.
    병 .
    뜨거운 음료를 계속 준다.
    정 .
    생체징후를 안정시키고 더 이상의 열손실이 없도록 한다.
    정답 : 정
  • 834.
    야간 또는 황천 항해 때 안전을 확보하기 하기 위하여 고정물에 몸을 묶는 장비는?
    갑 .
    하네스(Harness)
    을 .
    하이크아웃(Hike out)
    병 .
    히빙라인(Heaving line)
    정 .
    행크스(Hanks)
    정답 : 갑
  • 835.
    인명구조 우선순위에서 ( )을 최우선 생각해야 한다. 왜냐하면 인명구조에 있어서 ( )이 곧 요구조자의 안전이기 때문이다. 괄호 안에 들어갈 단어를 순서대로 고르시오.
    갑 .
    자기 안전, 타인 안전
    을 .
    구조자 안전, 요구조자 안전
    병 .
    자기 안전, 자기 안전
    정 .
    타인 안전, 자기 안전
    정답 : 병
  • 836.
    출혈이 발생한 환자의 지혈 방법 중 가장 효과적이며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?
    갑 .
    출혈부위 직접압박
    을 .
    지혈대를 이용한 방법
    병 .
    출혈부위 부목고정
    정 .
    출혈부위 가까운쪽 동맥 압박
    정답 : 갑
  • 837.
   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?
    갑 .
    뻗어돕기 – 다른 방법이 없는 경우 직접 수영을 하고 가서 팔을 뻗어 사람을 구조하는 방법이다.
    을 .
    수영구조 – 가장 안전한 방법으로 물에 들어가지 않고 줄을 던져서 구조하는 방법이다.
    병 .
    인간사슬 - 첫 번째 사람은 안전한 곳에 자신을 확실히 고정하고 서로 보는 방법은 손목의 위를 잡아 사슬이 끊어지지 않도록 한다.
    정 .
    선박구조 – 물에 들어가지 않고 긴 것을 뻗어서 사람을 구하는 방법이다.
    정답 : 병
  • 838.
    응급처치를 하는 동안 전염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경우는?
    갑 .
    가능하면 신체의 분비액과 접촉하지 않는다.
    을 .
    부상자의 신체 분비액과 구조자 사이에 깨끗하고 젖은 붕대나 신체 보호대를 사용한다.
    병 .
    피로 더럽혀진 물건을 만지지 않는다.
    정 .
    부상자를 처치한 후 즉시 비누나 물로 손을 씻어낸다.
    정답 : 을
  • 839.
    물에 빠져 허우적거리는 익수자를 발견하였다. 최후의 수단으로 해야 할 구조는 다음 중 어떤 것인가?
    갑 .
    신속히 직접 입수하여 구조한다.
    을 .
    신속히 물 밖에서 구조한다.
    병 .
    신속히 장대, 로프 등을 활용해 구조한다.
    정 .
    신속히 레스큐 튜브, 캔 등을 이용 구조한다.
    정답 : 갑
  • 840.
    다음 중 익수자 구조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익수자 발생 시 조타하는 사람이 볼 수 있도록 손으로 가리키며 크게 외친다.
    을 .
    구명환 등을 던져주고 익수자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발연, 발광부이를 던진다.
    병 .
    범주하여 익수자에게 접근 시 익수자를 풍하 쪽 현에 두고 접근한다.
    정 .
    익수자를 건져 올릴 때 말굽형 라이프 부이를 던져 걸어 올린다.
    정답 : 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