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 페이지는 이그리프 솔루션 데모페이지입니다.

02-867-0508 솔루션 문의하기

Exam Study 전체 문제를 확인하고 공부하세요.

  • 581.
    다음 중 삼색등을 표시할 수 있는 선박은?
    갑 .
    항행중인 길이 50m이상의 동력선
    을 .
    항행중인 길이 50m이하의 동력선
    병 .
    항행중인 길이 20m미만의 범선
    정 .
    어로에 종사하는 길이 50m이상의 어선
    정답 : 병
  • 582.
    야간에 수직으로 붉은색 전주등 3개를 표시하는 선박은?
    갑 .
    준설선
    을 .
    수중작업선
    병 .
    조종불능선
    정 .
    흘수제약선
    정답 : 정
  • 583.
    다음 중 해사안전법상 항행중인 상태로 옳은 것은?
    갑 .
    정박하고 있는 선박에 매어놓은 상태
    을 .
    엔진을 정지하고 표류중인 상태
    병 .
    정박중인 상태
    정 .
    얹혀있는 상태
    정답 : 을
  • 584.
    해사안전법상 항행중인 선박은?
    갑 .
    정박선
    을 .
    좌초선
    병 .
    표류선
    정 .
    계류선
    정답 : 병
  • 585.
    길이 12m 미만의 동력선에 설치하여야 할 등화를 맞게 나열한 것은?
    갑 .
    마스트등 1개와 선미등 1개
    을 .
    흰색 전주등 1개, 현등 1쌍
    병 .
    현등 1쌍과 선미등 1개
    정 .
    마스트등 1개
    정답 : 을
  • 586.
    다음 중 가장 해사안전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선박은 어느 것인가?
    갑 .
    우리나라 영해 내에 있는 외국인
    을 .
    공해상에 있는 우리나라 선박
    병 .
    외국 영해에 있는 우리나라 선박
    정 .
    우리나라 배타적 경제수역 내에 있는 외국 선박
    정답 : 정
  • 587.
    해사안전법상 조종불능선의 등화나 형상물로 올바른 것은?
    갑 .
    가장 잘 보이는 곳에 수직으로 둥근꼴이나 그와 비슷한 형상물 2개
    을 .
    가장 잘 보이는 곳에 수직으로 하얀색 전주등 1개
    병 .
    대수속력이 있는 경우에는 현등 1쌍과 선미등 2개
    정 .
    대수속력이 있는 경우에는 현등 2쌍과 선미등 2개
    정답 : 갑
  • 588.
    다음 중 선박이 다른 선박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한 조치 내용으로 적당하지 않는 것은?
    갑 .
    침로변경은 크게 한다.
    을 .
    속력은 소폭으로 변경한다.
    병 .
    가능한 충분한 시간을 두고 조치를 취한다.
    정 .
    필요한 경우 선박을 완전히 멈추어야 한다.
    정답 : 을
  • 589.
    해사안전법상 선박의 우현변침 음향신호로 맞는 것은?
    갑 .
    단음 2회
    을 .
    장음 1회
    병 .
    단음 1회
    정 .
    장음 2회
    정답 : 병
  • 590.
    해사안전법상 좁은수로 항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통행시기는 역조가 약한 시간이나 게류시를 택한다.
    을 .
    이물표 정중 등의 항진목표를 선정하여 보면서 항행한다.
    병 .
    좁은수로 정중앙으로 항행한다.
    정 .
    수로의 우측을 따라 항행한다.
    정답 : 병
  • 591.
    가항수역의 수심 및 폭과 선박의 흘수와의 관계에 비추어 볼 때 그 진로에서 벗어날 수 있는 능력이 매우 제한되어 있는 동력선을 무엇이라 하는가?
    갑 .
    조종불능선
    을 .
    조종제한선
    병 .
    예인선
    정 .
    흘수제약선
    정답 : 정
  • 592.
    다음 해사안전법상 용어를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수면비행선박이란 표면효과 작용을 이용하여 수면 가까이 비행하는 선박을 말한다.
    을 .
    고속여객선이란 시속 20노트 이상으로 항행하는 여객선을 말한다.
    병 .
    조종불능선이란 선박의 조종성능을 제한하는 고장이나 그밖의 사유로 인하여 조종할 수 없게 되어 다른 선박의 진로를 피할 수 없는 선박을 말한다.
    정 .
    거대선이란 길이 200m이상의 선박을 말한다.
    정답 : 을
  • 593.
    선박의 항행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항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일정한 범위의 수역을 무엇이라 하는가?
    갑 .
    통항로
    을 .
    연안통항대
    병 .
    항로지정제도
    정 .
    좁은수로
    정답 : 갑
  • 594.
    다음 중 해사안전법상 교통안전특정해역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곳은?
    갑 .
    인천
    을 .
    군산
    병 .
    여수
    정 .
    울산
    정답 : 을
  • 595.
    해사안전법상 항행장애물로 바르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선박으로부터 수역에 떨어진 물건
    을 .
    침몰·좌초된 선박 또는 침몰·좌초되고 있는 선박
    병 .
    침몰·좌초가 임박한 선박 또는 충분히 예견되어 있는 선박
    정 .
    침몰·좌초된 선박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선박의 전체
    정답 : 정
  • 596.
    다음 중 해양수산부장관이 교통안전특정해역으로 지정할 수 있는 해역이 아닌 것은?
    갑 .
    해상교통량이 아주 많은 해역
    을 .
    200m미만 거대선의 통항이 잦은 해역
    병 .
    위험화물운반선의 통항이 잦은 해역
    정 .
    15노트 이상의 고속여객선의 통항이 잦은 해역
    정답 : 을
  • 597.
    교통안전특정해역에서 공사 또는 작업을 하려는 사람은 누구에게 허가를 받아야 하는가?
    갑 .
    해양경찰청장
    을 .
    해양수산부장관
    병 .
    소방청장
    정 .
    광역시장
    정답 : 갑
  • 598.
    어로 중인 선박은 가능하면 ( )의 진로를 피해야 한다. 괄호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?
    갑 .
    운전부자유선, 기동성이 제한된 선박
    을 .
    수중작업선, 범선
    병 .
    운전부자유선, 범선
    정 .
    정박선, 대형선
    정답 : 갑
  • 599.
    다음 중 지정항로를 이용하지 않고 교통안전특정해역을 항행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?
    갑 .
    해양경비·해양오염방제 등을 위하여 긴급히 항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
    을 .
    해양사고를 피하거나 인명이나 선박을 구조하기 위해 부득이한 경우
    병 .
    교통안전해역과 접속된 항구에 입출항 하지 아니하는 경우
    정 .
    해상교통량이 적은 경우
    정답 : 정
  • 600.
    다음 중 해사안전법상 안전한 속력을 결정할 때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?
    갑 .
    해상교통량의 밀도
    을 .
    선박의 정지거리, 선회성능, 그 밖의 조종성능
    병 .
    선박의 흘수와 수심과의 관계
    정 .
    주간의 경우 항해에 영향을 주는 불빛의 유무
    정답 : 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