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 페이지는 이그리프 솔루션 데모페이지입니다.

02-867-0508 솔루션 문의하기

Exam Study 전체 문제를 확인하고 공부하세요.

  • 421.
    다음 중 수상레저활동 금지구역에서 수상레저기구를 운항한 사람에 대한 과태료 부과금액은 얼마인가?
    갑 .
    30만원
    을 .
    40만원
    병 .
    60만원
    정 .
    100만원
    정답 : 병
  • 422.
    다음 중 수상레저안전법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수상레저활동은 수상에서 수상레저기구를 이용하여 취미·오락·체육·교육 등의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활동이다.
    을 .
    수상레저안전법에서 정한 래프팅(rafting) 이란 무동력 수상레저기구를 이용하여 계곡이나 하천에서 노를 저으며 급류 또는 물의 흐름을 타는 수상레저활동을 말한다.
    병 .
    동력수상레저기구의 기관이 5마력이상이면 동력수상레저기구 조종면허가 필요하다.
    정 .
    선박법에 따라 항만청에 등록된 선박으로 레저활동을 하는 것은 수상레저기구로 볼 수 없다.
    정답 : 정
  • 423.
    수상레저안전법의 제정 목적으로 가장 적당하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수상레저사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
    을 .
    수상레저활동의 안전을 확보
    병 .
    수상레저활동으로 인한 사상자의 구조
    정 .
    수상레저활동의 질서를 확보
    정답 : 병
  • 424.
    다음 중 동력수상레저기구에 등록번호판을 부착하여야 할 곳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?
    갑 .
    선수 양현
    을 .
    선미 양현
    병 .
    선체 중앙
    정 .
    옆면 또는 뒷면의 잘 보이는 곳
    정답 : 정
  • 425.
    수상레저안전법상 수상안전교육에 관한 내용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안전교육 대상자는 동력수상레저기구 조종면허를 받고자 하는 자 또는 갱신하고자 하는 자이다.
    을 .
    수상안전교육 시기는 동력수상레저기구 조종면허를 받으려는 자는 조종면허시험 응시원서를 접수한 후부터, 동력수상레저기구 조종면허를 갱신하려는 자는 조종면허 갱신기간 이내이다.
    병 .
    수상안전교육 내용은 수상안전에 관한 법령, 수상레저기구의 사용과 관리에 관한 사항, 수상상식 및 수상구조, 그 밖의 수상안전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이다.
    정 .
    수상안전교육시간은 3시간이고 최초 면허시험 합격 전의 안전교육 유효기간은 5개월이다.
    정답 : 정
  • 426.
    다음 중 수상레저안전법상 원거리 수상레저활동 관련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출발항으로부터 10해리 이상 떨어진 곳에서 활동할 경우 신고하여야 한다.
    을 .
    어선안전조업법에 의한 신고를 별도로 한 경우에는 원거리 수상레저활동 신고의무의 예외로 본다.
    병 .
    출발항으로부터 5해리 이상 떨어진 곳에서 활동할 경우 신고하여야 한다.
    정 .
    원거리 수상레저활동은 해양경찰관서 또는 경찰관서에 신고한다.
    정답 : 병
  • 427.
    수상레저안전법상 수상레저사업장에 비치하는 비상구조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    갑 .
    비상구조선임을 표시하는 주황색 깃발을 달아야 한다.
    을 .
    망원경 1개, 구명부환 5개 등 인명구조장비를 비치한다.
    병 .
    지정된 비상구조선은 영업을 병행 할 수 있다.
    정 .
    수상레저사업에 이용되는 기구 중에서 비상구조선을 정한다.
    정답 : 병
  • 428.
    동력수상레저기구 조종면허의 종류와 기준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?
    갑 .
    제1급 조종면허 : 요트를 포함한 동력수상레저기구를 조종하는 자
    을 .
    제1급 조종면허 : 수상레저사업자 또는 종사자
    병 .
    제2급 조종면허 : 수상레저사업자 및 조종면허시험대행기관 시험관
    정 .
    제2급 조종면허 : 조종면허시험대행기관 시험관
    정답 : 을
  • 429.
    다음 중 수상레저안전법상 수상레저 사업등록 시 구비서류로 부적당한 것은?
    갑 .
    공유수면의 점용 또는 사용 등에 관한 허가서
    을 .
    주변 수리업체 명부
    병 .
    사업장 명세서
    정 .
    사업장 명세서
    정답 : 을
  • 430.
    수상레저안전법상 수상레저사업장에서 금지되는 행위가 아닌 것은?
    갑 .
    15세인 자를 보호자 없이 태우는 행위
    을 .
    술에 취한 자를 태우는 행위
    병 .
    정신질환자를 태우는 행위
    정 .
    수상레저기구 내에서 주류제공 행위
    정답 : 갑
  • 431.
    다음 중 수상레저안전법을 위반한 사람에 대한 과태료 부과 권한이 없는 사람은?
    갑 .
    통영시장
    을 .
    영도소방서장
    병 .
    해운대구청장
    정 .
    속초해양경찰서장
    정답 : 을
  • 432.
    다음 중 동력수상레저기구 조종면허 종별 합격기준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제1급 조종면허 : 필기 70점, 실기 70점
    을 .
    제1급 조종면허 : 필기 70점, 실기 80점
    병 .
    제2급 조종면허 : 필기 60점, 실기 60점
    정 .
    요트조종면허 : 필기 70점, 실기 60점
    정답 : 갑
  • 433.
    동력수상레저기구 조종면허 중, 제2급 조종면허의 필기 또는 실기시험 면제대상이 아닌 사람은?
    갑 .
    해양경찰관서에서 1년 이상 수난구조업무에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
    을 .
    소형선박조종사 면허를 가진 사람
    병 .
    대한체육회 가맹 경기단체에서 동력수상레저기구 선수로 등록된 사람
    정 .
    선박직원법에 따라 운항사 면허를 취득한 사람
    정답 : 갑
  • 434.
    다음 중 동력수상레저기구를 등록할 때 등록신청서에 첨부하여 제출하여야 할 서류가 아닌 것은?
    갑 .
    안전검사증(사본)
    을 .
    등록할 수상레저기구의 사진
    병 .
    보험가입증명서(사본)
    정 .
    등록자의 경력증명서
    정답 : 정
  • 435.
    수상레저안전법상 수상레저기구 정원초과에 대한 과태료로 올바른 것은?
    갑 .
    50만원
    을 .
    60만원
    병 .
    70만원
    정 .
    100만원
    정답 : 을
  • 436.
    수상레저안전법에 의한 운항규칙으로 바르지 않는 것은?
    갑 .
    다이빙대, 교량으로부터 20m이내의 구역에서는 10노트 이하로 운항해야 한다.
    을 .
    등록대상 동력수상레저기구의 경우에는 안전검사증에 지정된 항해구역을 준수해야 한다.
    병 .
    기상특보 중 경보가 발효된 구역에서도 관할 해양경찰관서에 그 운항신고를 하면 파도 또는 바람만을 이용하여 활동이 가능한 수상레저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.
    정 .
    안개 등으로 시정이 0.5km 이내로 제한되는 경우에는 레이더 및 초단파(VHF) 통신설비를 갖추지 아니한 수상레저기구는 운항해서는 안 된다.
    정답 : 병
  • 437.
    동력수상레저기구 조종면허 시험 중 부정행위자에 대한 제재조치로서 맞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당해 시험을 중지시킬 수 있다.
    을 .
    당해 시험을 무효로 할 수 있다.
    병 .
    공무집행방해가 인정될 경우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다.
    정 .
    1년간 동력수상레저기구조종면허 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.
    정답 : 정
  • 438.
    다음 중 동력수상레저기구 조종면허를 받을 수 없는 경우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무면허 조종으로 단속된 날부터 1년이 지난 자
    을 .
    동력수상레저기구 조종면허가 취소된 날부터 1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
    병 .
    정신질환자 중 수상레저활동을 수행할 수 없다고 정하는 자
    정 .
    마약중독자 중 수상레저활동을 수행할 수 없다고 정하는 자
    정답 : 갑
  • 439.
    수상레저안전법상 수상레저사업장에 대한 안전점검 항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수상레저기구의 형식승인 여부
    을 .
    수상레저기구의 안전성
    병 .
    사업장 시설ㆍ장비 등이 등록기준에 적합한지의 여부
    정 .
    인명구조요원 및 래프팅가이드의 자격ㆍ배치기준 적합여부
    정답 : 갑
  • 440.
    다음 ( )안에 알맞은 말은?
    갑 .
    해양수산부
    을 .
    경찰청
    병 .
    법원
    정 .
    해양경찰청
    정답 : 병