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 페이지는 이그리프 솔루션 데모페이지입니다.

02-867-0508 솔루션 문의하기

Exam Study 전체 문제를 확인하고 공부하세요.

  • 721.
    열대저기압인 태풍 발생의 특성이 아닌 것은?
    갑 .
    수온 27도 이상의 해면에서 발생한다.
    을 .
    중심 부근에 강한 비바람을 동반한다.
    병 .
    온대저기압과 달리 태풍은 전선을 동반하지 않는다.
    정 .
    태풍의 눈의 바깥 주변이 바람이 가장 약하다.
    정답 : 정
  • 722.
    다음 중 선수미선과 선박을 지나는 자오선이 이루는 각을 무엇이라 하는가?
    갑 .
    침로
    을 .
    방위
    병 .
    방위각
    정 .
    편차
    정답 : 갑
  • 723.
    해류도상에서 난류는 보통 어떠한 색으로 표시되나?
    갑 .
    청 색
    을 .
    적 색
    병 .
    황 색
    정 .
    녹 색
    정답 : 을
  • 724.
    다음 중 조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으로만 묶인 것은?
    갑 .
    ①, ③
    을 .
    ②, ③
    병 .
    ③, ④
    정 .
    ③, ⑤
    정답 : 을
  • 725.
    바이스 발로트(Buys-Ballot)의 법칙상 북반구에서 바람을 등에 받고 양팔을 수평으로 올렸을 때 저기압의 위치는?
    갑 .
    왼팔의 15°~ 30° 후방에
    을 .
    왼팔의 15°~ 30° 전방에
    병 .
    오른팔의 15°~ 30° 후방에
    정 .
    오른팔의 15°~ 30° 전방에
    정답 : 을
  • 726.
    기온과 습도가 대단히 높은 기단으로, 우리나라 여름철 날씨에 영향을 주는 기단은?
    갑 .
    시베리아기단
    을 .
    북태평양 기단
    병 .
    양쯔강 기단
    정 .
    적도 기단
    정답 : 을
  • 727.
    바다에서 파도를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인가?
    갑 .
    달과 태양의 인력
    을 .
    조류와 해류
    병 .
    바람
    정 .
    구름의 높이
    정답 : 병
  • 728.
    다음 중 해상에서의 보퍼트(Beaufort) 풍력 계급은 보통 몇 계급으로 구분되는가?
    갑 .
    0 ~ 10 (11계급)
    을 .
    1 ~ 10 (10계급)
    병 .
    0 ~ 12 (13계급)
    정 .
    1 ~ 12 (12계급)
    정답 : 병
  • 729.
    중형 태풍의 크기는 반경 몇 km인가?
    갑 .
    300km 미만
    을 .
    500km ~ 800km 미만
    병 .
    300km ~ 500km 미만
    정 .
    800km 이상
    정답 : 병
  • 730.
    다음 중 풍랑과 너울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풍랑은 파장이 짧고 봉우리가 뾰쪽하며 불규칙한 모양을 이루고 있다.
    을 .
    풍랑은 파형, 크기, 파고 등이 불규칙하다.
    병 .
    너울은 파장이 길고 봉우리가 둥글며 규칙성이 크다.
    정 .
    풍랑은 주기가 10~30초에 이른다.
    정답 : 정
  • 731.
    다음 보기의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바람에 의해 선박이 밀려 선박의 실제 항적과 선수미선이 일치하지 않고 교각을 이루는데 이 교각을 풍압차라고 한다.
    을 .
    해류나 조류에 밀리는 경우의 교각을 유압차라고 한다.
    병 .
    풍향은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말한다.
    정 .
    유향은 흘러오는 방향을 뜻한다.
    정답 : 정
  • 732.
    다음 중 고조에서 저조로 되기까지 해면이 점차 낮아지는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?
    갑 .
    낙조(Ebb tide)
    을 .
    정조(Stand of tide)
    병 .
    창조(Flood tide)
    정 .
    게류(Slack water)
    정답 : 갑
  • 733.
    17시(오후 5시)경 출항했을 때가 만조였다면 어느 시간대에 입항하여야만 만조 시 입항이 가능한가?
    갑 .
    당일 20시경(오후 8시경)
    을 .
    당일 23시경(오후 11시경)
    병 .
    다음날 02시경(오전 2시경)
    정 .
    다음날 05시경(오전 5시경)
    정답 : 정
  • 734.
    풍랑주의보 발효 시 파고의 높이로서 옳은 것은?
    갑 .
    5m 초과
    을 .
    4m 초과
    병 .
    3m 초과
    정 .
    2m 초과
    정답 : 병
  • 735.
    해도나 수로서지 간행 후 수심의 변화, 항로 장애물의 발생 등 항해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화가 생길 수 있다. 이러한 변경 사항을 선박에게 알리기 위해 발행하는 것은?
    갑 .
    등대표
    을 .
    항로지
    병 .
    조석표
    정 .
    항행통보
    정답 : 정
  • 736.
    다음 조석 및 조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    갑 .
    조석으로 인하여 해면이 높아진 상태를 고조라 한다.
    을 .
    연이어 일어나는 고조와 저조의 해면 높이의 차를 조류라 한다.
    병 .
    저조에서 고조까지 해면이 점차 상승할 때를 창조라 한다.
    정 .
    좁은 수도 등에서 조류가 격렬하게 흐르면서 물이 도는 것을 와류라 한다.
    정답 : 을
  • 737.
    조석이란 기조력에 의하여 일어나는 해수의 ( )방향의 운동이다. ( )안에 들어갈 말로 적당한 것은?
    갑 .
    자전
    을 .
    흑점
    병 .
    수직
    정 .
    공전
    정답 : 병
  • 738.
    다음 보기에 있는 총 4개의 ( ) 안에 적합한 것으로만 짝지어진 것을 고르시오.
    갑 .
    ① 조류, ② 조차, ③ 조류, ④ 해류
    을 .
    ① 조류, ② 조차, ③ 해류, ④ 조류
    병 .
    ① 조류, ② 조류, ③ 해류, ④ 조류
    정 .
    ① 조류, ② 조류, ③ 조석, ④ 조류
    정답 : 정
  • 739.
    우리나라 여름철의 대표적인 기압배치는?
    갑 .
    동고서저형
    을 .
    남고북저형
    병 .
    북고남저형
    정 .
    서고동저형
    정답 : 을
  • 740.
    이동성 고기압은 ( , ) 주로 나타난다.
    갑 .
    여름, 가을
    을 .
    봄, 가을
    병 .
    겨울, 봄
    정 .
    가을, 겨울
    정답 : 을